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텔, 日기업들과 반도체 후공정 기술 개발…中리스크 낮추기
2028년까지 후공정 자동화기술 개발 목표

반도체 칩 [로이터]

[헤럴드경제=정목희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이 오므론 등 일본 14개 기업과 반도체를 최종 제품으로 조립하는 후공정을 자동화하는 제조 기술을 일본에서 공동 개발할 것으로 알려졌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7일 보도했다. 후공정 분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리스크를 줄이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보도에 따르면 인텔은 오므론을 비롯해 야마하모터, 레조낙홀딩스, 신에쓰폴리머 등 일본 소재·부품·장비 14개사와 함께 후공정 자동화 기술 및 장치를 개발해 2028년까지 실용화할 계획이다.

이들은 '반도체 후공정 자동화·표준화 기술연구조합'(SATAS)를 설립해 후공정 관련 기술 표준화를 진행한다. 복수의 제조 장치와 검사 장치, 반송 장치를 시스템에서 일괄 관리하거나 제어하도록 할 방침이다.

개발비 등 투자액은 수백억엔(약 수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일본 경제산업성도 지원에 나설 전망이다.

반도체 공정은 크게 웨이퍼 공정인 전공정과 패키징·테스트 작업을 하는 후공정으로 나뉜다. 10나노 이하 초미세 공정부터는 미세화를 통한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어 반도체 업체들은 여러 칩을 한데 모아 원활히 구동하도록 연결하는 패키징 기술을 통해 성능을 끌어올리려고 하고 있다.

그런데 후공정은 다양한 부품과 제품을 수작업 비중이 커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과 동남아시아에 관련 공장이 집중돼 있다. 미국 컨설팅기업 보스턴컨설팅그룹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세계 후공정 공장 생산능력 중 중국이 38%를 차지했다.

한 미국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관계자는 "미국·유럽 고객이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국 리스크를 줄이길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미국과 일본에 후공정 거점을 마련하려면 생산 라인을 무인화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닛케이는 미일 기업 협력과 관련, 양국이 반도체를 일관 생산할 수 있게 해 반도체 공급망 단절에 대비함으로써 중국에 의존하는 지정학적 리스크를 낮출 목적이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조사기관 테크인사이츠는 반도체 후공정 시장 규모가 올해 125억 달러(약 17조원)로 지난해보다 13%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전자도 요코하마에 400억엔(약 3500억원)을 투자해 후공정 등 연구·개발(R&D) 시설을 구축한다. 대만 TSMC도 2022년 이바라키현 츠쿠바시에 후공정용 소재 개발을 위한 R&D 거점을 마련했다.

mokiy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