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정부 ‘원전 키우기’에 고민 커지는 에너지 기업들 왜? [비즈360]
제 10차 전기본 확정, 에너지 정책 대전환
원전 비중↑ LNG·신재생은 축소 “민자발전사 타격 불가피”
국내 신재생에너지 투자 위축 가능성…해외 등 사업다각화 관건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윤석열 정부가 원전 비중을 대폭 키우는 에너지 정책을 최종 확정하면서 LNG(액화천연가스)에 집중했던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탈원전 정책을 사실상 폐기해 원전에 더욱 힘 주는 구도에 따라 에너지 기업들은 에너지 정책 전환에 발빠르게 대응하면서 해외 신시장 개척 등 포트폴리오를 다변화 숙제를 안게 됐다.

탈원전 사실상 폐기…‘한전 살리기’ 팔 걷은 정부
경북 월성원자력발전소의 모습. [월성원자력본부 제공]

31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 의해 오는 2030년 국내 발전 가운데 원전 비중은 32.4%에 달할 전망이다. 이어 액화천연가스(LNG)가 22.9%가 뒤를 따르고 신재생에너지(21.6%), 석탄(19.7%), 수소·암모니아(2.1%) 등으로 구성된다. 원전 비중만 보면 지난 2018년 기준 23.4%에서 2030년 32.4%로 급등하고 2036년에는 34.6%까지 도달한다.

이는 지난 2020년 설정된 9차 전기본과 180도 달라진 내용이다. 당시 전기본은 2030년 발전 비중을 원전(25.0%), LNG(23.3%), 석탄(29.9%), 신재생에너지(20.8%) 등으로 제시한 바 있다. 원전 비중을 점차 줄이면서 오는 2060년에는 0%로 하려고 했던 이전 정부의 계획이 완전히 뒤집혔다는 평가다.

업계에서는 10차 전기본을 통해 국내 원전 정상화와 한국전력의 재무구조 개선 작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한다. 한전은 지난해 창립 1961년이후 61년만에 최대 규모인 30조원 적자를 기록한 상태에서 올해도 현 상태가 지속될 경우 18조원 안팎의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민간기업이라면 사실상 파산상황까지 다다른 것이다.

정부는 한전의 적자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2026년까지 단계별로 전기요금을 인상하고 원전 비중을대폭 올리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아울러 발전원별 시장 다원화, 민자발전사 간 경쟁 강화 등을 목표로 기존 전력시장의 개편도 추진한다.

반면 LNG나 석탄 비중이 여전히 높은 민간발전사 입장에서는 원전 중심의 에너지 정책 변화가 반갑지는 않은 실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전기본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하향되고, 원전 발전 비중이 상향된 것과 관련 “특정 분야를 지원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원전의 활용은 ‘에너지 안보’ 등 별도의 관점에서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자발전사 타격 불가피…“사업 다각화로 승부수”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미얀마 가스전 모습. [포스코인터내셔널 제공]

업계에서는 LNG 비중이 높은 민자발전의 경우 정부의 에너지 정책 전환으로 본격적인 실적 감소와 투자 위축에 직면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민자발전시장은 정부가 지난 2001년 전력 발전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면서 형성됐다. 한국전력의 6개 발전 자회사와 포스코에너지(현 포스코인터내셔널), GS EPS, GS파워, SK E&S 등 대기업 계열의 자회사가 뛰어들었다.

초기에는 한전 자회사의 설비용량이 절대적이었고 개별 민자발전사의 지위가 높지 않았지만, 정부가 효율성 제고를 위해 민자발전소 허가를 확대하면서 몸집이 점차 커졌다. 특히 지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전력대란 여파로 민자발전 업계가 호황을 누리기도 했다.

하지만 10차 전기본에 의해 LNG 발전 비중의 감소 및 역할 축소가 예상되고, 가격 입찰제까지 시작되면 민자발전사들의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신용평가의 장수명 수석연구원과 이승민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원전 중심의 정책 변화로 인해 LNG 발전의 전략적 중요성이 약화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여기에 작년 12월 시행된 긴급정산상한가격제도(SMP상한제)에 이어 (정부가) 발전사 간 경쟁을 유도하고 수익성에 부정적인 방향으로 기존 정산구조를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민자발전사 전반의 수익성 저하와 중장기적인 사업 불확실성 확대가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다만 민자발전사들의 중장기적인 사업포트폴리오 재편은 향후 주목할 대목으로 꼽힌다. 국내 LNG발전이나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경우 정부가 속도 조절에 나서면서 신규 투자 역시 제한될 것으로 관측된다.

반면 에너지기업들의 해외 투자는 현재보다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한신평에 따르면 SK E&S의 경우 호주 가스전 지분 투자 등 기존 사업 관련 투자 이외에 수소 분야 및 에너지솔루션 중심으로 신규 투자가 재편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포스코인터내셔널과의 합병 이후 기존 가스전 관련 투자뿐만 아니라 LNG 밸류체인 구축 투자(2023년부터 2025년까지 총 3조8000억원)를 통해 관련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한화에너지는 그룹 태양광사업 수직계열화 과정에서의 개발·발전·유지보수 등 다운스트림(에너지를 활용한 사업 진행 단계) 역할을 포지셔닝 중에 있다.

한신평 측은 “과거 민자발전사들은 업체간 사업의 차별화 수준이 제한적이고 업황에 따라 실적이 유사하게 변동하는 모습을 보였다”면서 “이제는 발전 이외의 사업 비중 확대 등 신규 사업의 성격과 투자성과에 따라 (기업들의) 재무구조 편차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