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년간 삼성에서 바뀌지 않았던 단 ‘하나’…이재용 ‘회장 승진’ 언제쯤 [비즈360]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공장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연설에 앞서 인사말을 하는 모습 [삼성전자 제공]

[헤럴드경제=김지헌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복권되면서 삼성의 경영정상화도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연내 이 부회장의 회장 승진이 유력한 것으로 예상되고 그룹 미래사업을 정식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도 부활될 것으로 점쳐진다. 다만 지속된 재판은 해외출장 등을 제한하면서 과감한 투자와 인수합병(M&A)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은 이 부회장의 회장 승진과 컨트롤타워 부활을 동시에 추진할 것으로 관측된다.

회장 승진은 법률(상법)상의 직함은 아니어서 사내 주요 경영진이 모여 결정한 뒤 이사회에 보고하면 이뤄지는 방식이다. 이에 오는 10월 25일 이건희 회장 2주기, 11월 1일 삼성전자 창립기념일, 11월 19일 이병철 선대회장 35주기 등이 유력한 승진 시기로 꼽힌다. 12월 삼성그룹 정기 사장단 인사 시즌 전에 이 부회장 승진을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회장’ 체제의 뉴 삼성 조각을 완성한다는 그림이다. 이 부회장은 2012년 12월 44세의 나이에 부회장으로 승진한 뒤 10년째 유지 중이다. 4대 그룹 가운데 회장 타이틀을 달지 못한 총수는 이 부회장이 유일하다. 이에 맞춰 이사회를 열어 이 부회장의 등기이사 재선임도 수순으로 거론된다. 이 부회장은 2019년 10월 26일 3년 임기를 끝낸 뒤 등기임원에서 내려왔고, 현재는 무보수 미등기임원이다.

이와 함께 미래사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시 부활될 가능성이 높다. 삼성 그룹 컨트롤 타워의 역사는 ‘비서실-구조조정본부-전략기획실-미래전략실’로 이어진다. 이름은 바뀌었지만, 삼성 총수가 삼성 계열사 전반을 운영하고 사업 전략을 계획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던 곳이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시절 미래전략실이 삼성과 정치권의 연결고리로 지목되며 2017년 3월 문을 닫았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2016년 12월 국정농단 사건과 관련한 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서 미래전략실 해체를 선언한 지 3개월 만이었다. 이후 만들어진 부서가 사업지원TF로 ‘사장급’으로 지위를 낮추는 등 위축돼 운영됐다.

삼성과 같은 거대 기업의 미래 사업 전략을 구상하기에는 현재 조직의 격상과 확대는 불가피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룹차원의 계열사들과 효율적인 업무 조율을 하기 위해서라도 TF 조직을 직전의 미래전략실 수준으로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불거지고 있는 공급망 문제 등 위기 상황에 따른 대처 역시 총괄 부서가 있어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무엇보다 삼성의 투자와 대규모 M&A를 위해 컨트롤타워 기능과 역할이 필수다. 미래전략실이 해체되면서 전략·기획·진단·인수합병(M&A) 관련 기능을 각 계열사에 맡기다보니 삼성에는 통합적으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할 수 있는 조직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변수는 이 부회장의 ‘사법 리스크’가 아직 해소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오는 18일 이 부회장이 출석하는 회계 부정과 부당 합병 혐의 공판만 무려 61번째다. 매주 목요일은 물론이고 3주에 한 번은 금요일에도 이 부회장은 출석한다. 이 부회장은 지난달 미국 아이다호에서 열린 세계 최고경영자(CEO) 모임인 ‘선밸리 콘퍼런스’도 재판 일정으로 인해 불참했다. 지난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삼성전자 평택공장 방문, 지난 6월 이 부회장의 유럽 출장 때에는 재판부에 불출석을 요청하는 의견서를 내야 했다.

최준선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는 “재판 진행이 이 부회장 입장에선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재판이 적어도 2년 정도는 더 걸릴 수 있다는 점에서 (복권이후에도) 사법리스크는 더 지속되는 셈”이라고 평가했다.

ra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