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니혼게이자이 ‘금값 상승 요인’ 분석
세계 경제에 더블딥(이중 침체) 우려가 깊어지면서 금값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3일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값은 전날 종가보다 21.80달러(1.3%) 급등한 온스당 1666.30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8거래일 동안 다섯 번째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안전 자산의 대표 격인 금은 올 들어 15% 급등하며 11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금값은 앞으로도 더 올라 내년 초에는 온스당 2000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부에서는 이런 추세라면 금값이 백금값을 웃도는 역전 현상이 가능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금값이 오르는 이유는 미국의 신용 등급 강등과 경기 둔화 우려로 안전 자산인 금을 사려는 심리가 강해졌기 때문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일 세계금위원회(WGC) 일본 대표 도시마 이쓰오의 말을 인용해 금값이 오르는 7대 요인을 분석하면서 “주가는 경기 낙관론, 채권은 비관론으로 성장하지만, 금은 신흥국 낙관론과 선진국 비관론으로 성장한다”고 밝혔다.

▶신흥국 금 보유 확대=금값 상승의 주된 요인은 신흥국의 금 보유 확대 움직임이다. 중국, 인도, 러시아 등 브릭스 국가들은 물론 한국, 태국, 멕시코 중앙은행까지 금 매입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달러나 유로화에 치중했던 보유 외환을 다변화하기 위해 금을 사들이고 있다.

지난 20년간 대규모 금 매도기관이었던 중앙은행들은 올 들어 금 매입 큰손으로 입장을 바꿨다. 신문은 1990년대 유럽 중앙은행들이 연간 500t 이상의 대량의 금을 팔아치워 금값이 1999년 온스당 250달러까지 떨어졌지만, 올해는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나서 200t 이상을 사들였다며 이 같은 움직임이 금값을 밀어 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흥국 金 소비 세계 최대=신흥국이 금 보유를 늘리고 있는 가운데 신흥국 국민의 금 소비도 급증하고 있다. 중국과 인도 2대 신흥국만 해도 전 세계 연간 금 생산량의 60%를 흡수하고 있다. 문화적으로 금 선호도가 높고,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면서 금 주얼리 구입도 늘어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올해 1분기 금 소비량이 90.9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배 가까이 늘면서 소비량 증가 속도에서 인도를 추월했다. 중국은 전략적으로 2년 전 런민은행에서 민간 은행으로 금 통제를 해제했다. 희소 자원으로서의 금을 민간 차원에서 많이 보유하게 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주요국 통화 불안감=달러, 유로, 엔화 등 주요국 통화 가치에 대한 불안감은 금 쏠림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 신문은 “달러 가치 하락만으로 금값이 오르는 단순한 공식은 통하지 않는다”면서 “공공 부채 급증으로 적자에 시달리는 주요국 통화 불안감이 달러는 물론 유로, 엔화까지 3중으로 가세해 ‘무국적 통화’인 금 선호 현상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신문은 현재 진행 중인 엔고 현상은 일본 경제의 펀더멘털 안정성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상기시켰다. 



▶국채 리스크 고조=2008년 ‘리먼 쇼크’ 이후 글로벌 자금이 주식에서 금으로 이동했지만, 올해 유동성은 ‘국채에서 금’으로 흐르고 있다. 안전 자산으로 여겼던 미국, 유럽, 일본의 국채 위험성이 고조됨에 따라 ‘국가 재정 리스크 제로’인 금이 투자처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유동성으로의 도피 자금이 미 국채로 향하는 반면, 질적 안정성을 꾀하는 자금은 금으로 흘러가고 있다.

▶인플레의 그림자=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이 급속한 인플레에 시달리면서 이들 국가는 긴축 재정에 매달리고 있다. 하지만 금융 당국이 금리 인상을 단행해도 물가 상승 속도를 따라잡을 수 없어 종이화폐 가치는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장기 가치 저장 수단으로 탁월한 금이 인플레 헤지의 대표 격으로 각광받고 있다.

▶유사시 대비 ‘실탄’=더블딥 공포가 확산되면서 세계 경제 유사시에 대비한 금 수요도 늘고 있다. 신문은 “미국의 9ㆍ11 테러 주범인 오사마 빈 라덴의 사살로 보복 테러 가능성이 커졌다고 해서 금 사재기가 나타나는 시대는 지났다”며 미국과 유럽의 채무위기와 ‘리먼 쇼크’와 같은 경제위기에 대비한 리스크 회피 수단으로 금이 재조명되고 있다고 전했다.

▶금 생산량 급감=이처럼 금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전 세계 금 생산량은 줄고 있는 점도 금값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 국제 금값은 지난 10년간 6배 올랐지만 연간 금 생산량은 2400t에서 2700t 증가하는 데에 그쳤다. 채산성이 확보되는 광맥은 남아 있지 않은 상태이고, 신규 광산 개발도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 앞으로 금 생산은 ‘리사이클(재활용)’이라는 2차 공급원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라고 신문은 덧붙였다.

천예선 기자/che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